반응형

경제기사 11

240325 글로벌 주요 산업/기업 업데이트

출처: 신한 Global Daily 미국 S&P 500 -S&P500 -0.1%. 고점부담속혼조마감 -소매업체실적부진. 나이키(-7.0%), 룰루레몬(15.8%) 모두 부정적가이던스에 급락. 반면 페덱스(+7.4%)는 호실적에 상승 -엔비디아(+3.1%)는GTC 기대감 및 목표주가상향세에 강세. 3대지수 중 나스닥 홀로 상승 반전하며 사상최고치 경신 중국 상해종합 -상하이종합지수 0.9%. 위안화 절하 압력에 하락 -미 상무부 , 화웨이와 관련된 중국 반도체 업체에 제재를 검토 중이라는 소식에 투심 악화 - D 램 제조사 CXMT, 시캐리어 등이 물망 - 미달러 강세 영향으로 역외 위안화 환율은 장중 7.2657 위안 달러까지 급등해 지난해 11 월 17 일 이후 최고치를 기록 - 중국의 AI 스타트업 ..

경제 Economy 2024.03.25

230109 경제기사 세줄요약

1. 테슬라 12월 중국 판매 반토막, 코로나 확산 영향 1) 테슬라가 중국에서 만든 전기차의 판매 실적이 5개월 만에 최저치로 떨어짐 2) 코로나 19확산 및 테슬라 수요 둔화에 따른 재고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생산량을 줄였고 상하이 공장은 코로나 확산으로 인해 지난달 24일부터 이달 2일까지 생산 중단에 들어감. 수요 부진이 이어지면서 테슬라도 추가 할인에 들어감 3) 중국 1위 토종 전기차 업체 비야디 BYD의 12월 인도 실적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카 포함)은 테슬라의 4배이상 23만대 기록하고 제너럴모터스와 중국 상하이 자동차의 합작사인 SAIC-GM 판매량도 테슬라보다 53%많았다고 함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797093?sid=101..

경제 Economy 2023.01.09

221015 경제기사 세줄요약

1. 뉴욕마감 - 기대 인플레 상승에 급락 마감 1) 뉴욕증권거래소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 전장보다 1.34%하락, 2만 9634.83 , S&P500 지수 2.37% 하락, 나스닥 3.08% 하락 2) 9월 소비자물가지수 CPI가 시장의 예상치를 웃도는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음에도 기술적 반등에 2% 이상 상승. 3)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경기 침체 우려는 실적 전망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 높은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는 만큼 당분간 시장의 변동성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 5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20.9%로 전달의 2.7% 높아짐. *기대인플레이션은 연방준비제도가 주시하는 지표. 인플레 기대치가 계속 오른다는 것은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오래갈 수 있다는 것을 뜻함. https://biz.chosun..

경제 Economy 2022.10.21

221014 경제기사 세줄요약

1. 네덜란드, 독일 반도체 기업 한국에 289억원 투자 1) 반도체 원자층증착 ALD 장비 1위 업체인 네덜란드 ASM은 국내에 1000만 달러, 약 144억원을 투자해 반도체 장비 생산공장과 연구개발 센터등 건설하기로 결정. 세계에서 유일하게 극자외선 EUV 노광장비용 반사거울을 공급하는 독일 칼자이스와도 이와 비슷한 규모의 투자를 협의. 2) 세계 1위 반도체 노광장비 기업 네덜란드 ASML은 2400억원을 투자해 다음달 경기도 화성에 반도체 클러스트를 착공하겠다는 계획을 확인. 3) 조선 기자재 핵심 기업 KSB의 투자 유치에 성공할 경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과 액화수소 플랜트 등에 사용되는 핵심 부품을 국내 공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조선산업 고도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https://n.ne..

경제 Economy 2022.10.15

221013 경제기사 세줄요약

1. 금융시장 빨간불, 영국발 경제위기 오나 1) 금일 코스피 지수는 2100으로 밀리고 코스닥은 연중 최저치로 마감. 영국 정보가 지난달 감세안을 발표한 뒤, 국채 가격이 갑자기 폭락하면서 영국 연기금이 파산 위기를 맞았음. 2) 영국 국채금리 상승과 파운드화 가치는 하락. 달러 값은 오르면서 뉴욕증시 또한 하락. 엔달러 환율은 24년 만에 최고치를 찍었고, 달러당 164엔은 1998년 8월 이후 처음 3) 영국 정부의 부채는 코로나 사태 이후 국내총생산 GDP의 130%까지 늘어났고 이는 나라 빚은 많은데 경상수지는 적자도 심한 쌍둥이 적자 상황을 겪고 있음. 물가상승률은 10% 와 더불어 금리는 계속 상승세라 영국발 경제위기 가능성을 염두에 둘 수 밖에 없음 https://n.news.naver.c..

경제 Economy 2022.10.13

221012 경제기사 세줄요약

1. 10월에도 약세인 비트코인 1) 미국 중앙은행 Fed의 금리인상에 따라 위험자산 회피현상으로 투자자금 유입이 줄면서 비트코인이 수개월째 2만달러 안팎을 오가고 있음. 2) 미국 인플레이션이 매월 8%를 웃돌면서 Fed는 인플레이션을 2%까지 낮출 때까지 금리인상을 이어나가겠다는 의지를 보임. 금리 인상이 마무리되는 시점에야 위험 자산에 대한 회피 현상이 끝날 것으로 보임 3) Fed가 금리인상 기조를 바꿀 의사를 보이지 않으면서 미국 증시와 함께 암호화폐도 동반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쏠리고 있음.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761270?sid=101 '9월 악몽' 겪은 비트코인…10월에도 힘 못쓰나 비트코인이 수개월째 2만달러 안팎을 ..

경제 Economy 2022.10.12

221011 경제기사 세줄요약

1. 금값 2년 반래 최저 찍고 반등, 미국 고용지표에 재차 하락 1) 전통적으로 인플레이션 헤지용으로 각광 받던 금 값이 재하락. 올해 들어 연준의 공격적인 정책금리 인상에 달러화가 강세를 지속하면서 금값은 연중 내내 하락압력을 받는 중. 2) 현재 현물 금값은 온스당 1676달러, 2년 반 만에 가장 낮은 수준. 3) 역사적으로 실질 금리가 마이너스일 때 금은 호황, 금리가 상승할 땐 수익률이 낮아졌음. 만약 인플레이션이 완화되지 않는 가운데 더 높은 금리가 경제 성장을 약화시키면 글로벌 경제는 오히려 스태그 플레이션을 걱정해야하는 상황에 놓일 수 있음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338818?ntype=RANKING 똥값 된 금(金)값…이젠 금 사도 되지..

경제 Economy 2022.10.11

221009 경제기사 세줄요약

1. 금리인상으로 2030 서울 아파트 영끌 3년만에 최저 1) 올해 1월~8월, 2030 서울 아파트 매입 건수는 총 4150건으로 전체 거래 건수의 35% 차지. 그러나 2030 매수세는 지난 8월 한국 은행이 2년 9개월 만에 기준 금리를 0.5%에서 0.75%로 인상하고 금융권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DSR)규제가 강화되면서 위축되기 시작함. 2) 이에 따라 금리 인상으로 임대차 시장에서 전세보다 월세를 선호하는 현상이 뚜렷해짐. 전세자금대출을 추가로 받는 대신 오른 보증금만큼 월세로 돌리는 식. 3) 금리 인하 시그널이 오기 전까지는 매수세는 쉽게 상승하지 않을 것이며, 월세 수요도 계속 커질 것.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3455296?..

경제 Economy 2022.10.10

221007 경제기사 세줄 요약

1. 아마존 배달로봇 사업 포기 1) 아마존이 2019년부터 시범운영하던 택배 배송 로봇 '스카우트' 사업을 중단함 2) 400여 명이 속한 스카우트팀은 해체 되었고 해체 원인은 시범 운영 과정에서 고객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부분이 있었다고 설명함 3) 해당 로봇은 성인 무릎 높이까지 오는 소형 냉장고 크기에 보행자나 반려동물을 피해 목적지에 도착하도록 설계되었으나, 도심에서는 악천후나 방지턱과 같은 난관에 부딪힐거라는 회의적인 시각이 사범운영 시작 당시부터 있었다고 함.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027460 허리띠 조이는 아마존, 배달로봇 사업 포기 아마존이 시범운영 중이던 배달로봇 사업을 포기했다고 블룸버그가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블..

경제 Economy 2022.10.08

221006 경제기사 세줄요약

1. 외환 보유액 197억 달러 급감, 금융위기 후 최대폭 1) 외환 보유액이 한 달 사이 200억 달러 급감. 이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3년 11개월 만에 가장 큰 감소폭 2) 한국은행에 따르면 우리나라 외환 보유액은 세계 8위 규모로 충분한 수준이기 때문에 현재 강달러와 인플레이션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외환위기를 걱정할 필요 없다고 주장. 3) 외환당국의 외환 보유액 뿐만 아니라 2014년 순대외 금융자산 보유국으로서 국내총생산 GDP의 37%에 이르는 대외자산도 갖고 있음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7/0001694358?sid=101

경제 Economy 2022.10.07
반응형